3번째 세계(r15 Blame)

r15
r1

(새 문서)
1[include(틀:상위 문서, up=세계/세트1)]
2[include(틀:세계)]
r11
3||<table align=right><-2><tablewidth=500><colbgcolor=#693936,#301716><table bordercolor=#190E27,#47344F><colcolor=#AFF581> [[파일:World 3 Icon.png|width=75]][br]'''{{{+2 3번째 세계}}}''' ||
r8
4||<-2><nopad> {{{#!wiki style="background-image: linear-gradient(to bottom, #000000 75%, #2A3841)"
5[[파일:World 3.png|width=100%]]}}} ||
r1

(새 문서)
6|| '''제목''' || 유턴과 구불거리는 길[br]Three-Point Turns and Serpentines ||
7|| '''튜토리얼 수''' || 6개 ||
8|| '''처음 등장하는 패턴''' || 유턴[* 90도 또는 270도 타일이 연달아 두개 등장해 레벨 진행 방향이 변하는 패턴.] ||
9|| '''해금 조건''' || 통상 해금 ||
10[clearfix]
11[목차]
12== 개요 ==
r2
13[[A Dance of Fire and Ice]]의 공식 레벨 중 [[세계/세트1|세트1]]의 세번째 레벨인 '''3번째 세계'''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.
r10
14== 특징 ==
15메인 레벨의 길이가 가장 짧은 레벨 중 하나이다.
16또한 초심자들의 대부분이 처음으로 힘들어하는 레벨이다.
17
r1

(새 문서)
18== 튜토리얼 ==
19=== 3-1 유턴 ===
r12
20||<table align=left><-4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693936,#301716><table bordercolor=#190E27,#47344F><colcolor=#AFF581> '''{{{+1 3-1 유턴}}}[br]3-1 Three Point Turns''' ||
r10
21||<-4><nopad> [youtube(튜토리얼 영상)] ||
22||<-4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
23[[tuto3-1.png]]}}} ||
r13
24||<width=25%> '''BPM''' ||<-4> 140 ||
r10
25|| '''타일 수''' ||<-4> 18 ||
26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4> 바깥쪽 유턴, 안쪽 유턴 ||
r13
27트레실로(3-3-2) 박자가 처음으로 등장한다.
28두 번째 꺾인 길은 첫 번째 꺾인 길과 박자가 다르므로 조심해야 한다.
29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.
30■□■□|■□■□|■□□■|□□■□|■□■□|■□■□|■■■□|■□■□|■
r10
31
r1

(새 문서)
32=== 3-2 유턴 받고 유턴 더 ===
r12
33||<table align=left><-4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693936,#301716><table bordercolor=#190E27,#47344F><colcolor=#AFF581> '''{{{+1 3-2 유턴 받고 유턴 더}}}[br]3-2 More Three Point Turns''' ||
r10
34||<-4><nopad> [youtube(튜토리얼 영상)] ||
35||<-4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
36[[tuto3-2.png]]}}} ||
r13
37||<width=25%> '''BPM''' ||<-4> 140 ||
r10
38|| '''타일 수''' ||<-4> 18 ||
39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4> 유턴 복습 ||
r13
40앞선 튜토리얼 레벨과 동일한 패턴이지만 등장 순서가 바뀌었다.
41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.
42■□■□|■□■□|■■■□|■□■□|■□■□|■□■□|■□□■|□□■□|■
r10
43
r1

(새 문서)
44=== 3-3 구불구불 ===
r12
45||<table align=left><-4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693936,#301716><table bordercolor=#190E27,#47344F><colcolor=#AFF581> '''{{{+1 3-3 구불구불}}}[br]3-3 Serpentine''' ||
r10
46||<-4><nopad> [youtube(튜토리얼 영상)] ||
47||<-4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
48[[tuto3-3.png]]}}} ||
r13
49||<width=25%> '''BPM''' ||<-4> 150 ||
r10
50|| '''타일 수''' ||<-4> 38 ||
51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4> 바깥쪽 유턴과 안쪽 유턴의 복합 ||
r13
52앞선 튜토리얼 레벨에 나왔던 두 가지 패턴을 합쳤다.
53첫 번째와 세 번째 유턴은 바깥쪽 유턴이 먼저이고
54두 번째와 네 번째 유턴은 안쪽 유턴이 먼저이다.
55각 패턴을 박자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.
56첫 번째와 세 번째 | ■□□■|□□■■|■
57두 번째와 네 번째 | ■■■□|□■□□|■
r10
58
r1

(새 문서)
59=== 3-4 구불구불구불구불 ===
r10
60||<table align=left><-4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693936,#301716><table bordercolor=#190E27,#47344F><colcolor=#AFF581> {{{#!wiki style="margin: -5px -10px; padding: 6px 10px; background-image: linear-gradient(to bottom, #693936, #693936)"
61'''{{{+1 3-4 구불구불구불구불}}}[br]3-4 SSSSSS'''}}} ||
62||<-4><nopad> [youtube(튜토리얼 영상)] ||
63||<-4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
64[[tuto3-4.png]]}}} ||
r13
65||<width=25%> '''BPM''' ||<-4> 150 ||
r10
66|| '''타일 수''' ||<-4> 26 ||
67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4> 아래로 향하는 연속된 구불구불 ||
r13
68바깥쪽 유턴과 안쪽 유턴이 계속해서 반복된다.
69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.
70■□■□|■□■□|■□□■|□□■■|■□□■|□□■■| ...
r10
71
r1

(새 문서)
72=== 3-5 구불구불구불구불구불구불구불구불 ===
r12
73||<table align=left><-4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693936,#301716><table bordercolor=#190E27,#47344F><colcolor=#AFF581> '''{{{+1 3-5 구불구불구불구불구불구불구불구불}}}[br]3-5 More SSSSSS''' ||
r10
74||<-4><nopad> [youtube(튜토리얼 영상)] ||
75||<-4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
76[[tuto3-5.png]]}}} ||
r14
77||<width=25%> '''BPM''' ||<-4> 160 ||
r10
78|| '''타일 수''' ||<-4> 22 ||
79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4> 위로 향하는 연속된 구불구불 ||
r13
80안쪽 유턴과 바깥쪽 유턴이 계속해서 반복된다.
81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.
82■□■□|■□■□|■■■□|□■□□|■■■□|□■□□| ...
r10
83
r1

(새 문서)
84=== 3-6 이걸로도 설명이 좀 모자란 감이 있는데 양해 부탁드려요 ===
r12
85||<table align=left><-4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693936,#301716><table bordercolor=#190E27,#47344F><colcolor=#AFF581> '''{{{+1 3-6 이걸로도 설명이 좀 모자란 감이 있는데 양해 부탁드려요}}}[br]3-6 These Tutorials Are Inadequate for What's Coming, Forgive Me''' ||
r10
86||<-4><nopad> [youtube(튜토리얼 영상)] ||
87||<-4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
88[[tuto3-6.png]]}}} ||
r15
89||<width=25%> '''BPM''' ||<-4> 160 ||
r10
90|| '''타일 수''' ||<-4> 25 ||
91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4> Z굴곡 직후 구불구불의 반복 ||
r13
92S굴곡과 아래로 향하는 구불구불이 반복된다.
93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.
94■□■■|□□■□|■□□■|□□■■| ...
r10
95
r1

(새 문서)
96== 3-X THE WIND-UP ==
97||<table align=center><-4><tablewidth=500><colbgcolor=#693936,#301716><table bordercolor=#190E27,#47344F><colcolor=#AFF581> '''{{{+2 3-X THE WIND-UP}}}''' ||
98||<-4><nopad> [youtube(qtctxmo2jcA, start=98)] ||
r9
99||<width=25%> '''작곡가''' ||<-4> [[Hafiz Azman|fizzd]] ||
r1

(새 문서)
100|| '''BPM''' ||<-4> 180[* 최대 타일 BPM 180, 체감 BPM 360] ||
101|| '''길이''' ||<-4> 0:53[br]1:10 ^^(데모 버전)^^ ||
102|| '''타일 수''' ||<-4> 160 ||
r4
103|| '''목표 배속''' ||<-4> 1.5배 ||
r1

(새 문서)
104|| '''주요 패턴''' ||<-4> - ||
r10
105||<|2> '''난이도''' ||<width=25%> '''[[https://docs.google.com/spreadsheets/d/1Zdcrfwxbuew1DE8WYm2geTHYEQii288P07dokyZ2NlU/edit?gid=1992961051#gid=1992961051|시트 난이도]]''' ||<width=25%> '''ADOFAI.gg[br]기준''' ||<width=30%> '''TUF[br]기준''' ||
r7
106|| {{{#FAE969 ●●●●}}}4 || [[파일:gg Lv 3.svg|width=30]] || [[파일:TUF Lv P2.png|width=30]] ||
r10
107|| '''해금 행성 색상''' || 라임색 || 마젠타 ||
108||<|2> '''관련 도전과제''' || [[A Dance of Fire and Ice#s-4.2|world3c.png]][br]3번째 세계 완료 || [[A Dance of Fire and Ice#s-4.2|world3p.png]][br]3번째 세계 퍼펙트 || [[A Dance of Fire and Ice#s-4.2|world3stc.png]][br]3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 ||
109
r1

(새 문서)
110== 여담 ==
111* 이 세계는 얼불춤 데모 버전 마지막 세계이다. 보스 스테이지 곡 제목인 'THE WIND-UP'의 뜻 역시 '마무리'.
r9
112[[분류:공식 레벨]][[분류:Hafiz Azman]]